(#4)
1. 구축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요구사항이 불분명하여 프로토타입 모형을 선택했다. (O)
-> 프로토타입 모형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형
2. 응용 분야가 단순하고 설치 시점에 제품 설명서가 요구됨에 따라 나선형 모형을 선택했다. (X)
-> 폭포수 모형
(#7)
- 나선형 모형은 대규모 시스템에 적합하다. (O)
(#11)
- 선형 순차 모형의 순서: 분석- 설계- 구현- 테스트- 유지보수
(#12)
- 폭포수 모델은 앞 단계에서 발견하지 못한 오류를 다음 단계에서 발견했을 때 오류 수정이 용이하다. (X)
-> 그 전 단계로 돌아가지 못함
(#15)
- 스프린트 검토 회의에서의 피드백을 다음 스프린트에 반영하고 제품 백로그를 업데이트 하는 사람은? (제품 책임자)
(#17)
- 오픈소스 사용의 고려사항에 속하지 않는 것은? (라이선스의 비용)-> 오픈소스는 무료이기 때문
(#18)
- 사용자 요구사항 추출방법 중 시스템 수행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종이에 화면 순서를 기술해 고객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과 관련된 것은? (프로토타입)-> section 6 참고
'자격증 > 정보처리기사 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1. UI 표준 및 지침 (0) | 2020.08.26 |
---|---|
10. 사용자 인터페이스 (0) | 2020.08.26 |
9. UML (0) | 2020.08.26 |
8. 요구사항 확인 기법 (0) | 2020.08.26 |
7. 요구사항 분석 기법 (0) | 2020.08.26 |